맨위로가기

ISO/IEC 1444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IEC 14443은 ISO/IEC JTC 1/SC 17/WG 8에서 개발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및 근접 카드 표준이다. 이 표준은 물리적 특성, 무선 주파수 전력 및 신호 인터페이스, 초기화 및 충돌 방지, 전송 프로토콜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ISO/IEC 14443은 A형과 B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13.56 MHz의 무선 통신을 사용한다. 주요 구현체로는 MIFARE, 생체인증 여권, EMV 기반 비접촉식 결제 카드(PayPass, Visa payWave, ExpressPay), NFC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MIFARE 카드, 생체인증 여권, EMV 지불 카드, 근거리 무선 통신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SO/IEC 표준 -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관리는 제한된 자원 내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연관된 작업들을 계획, 실행, 모니터링 및 종료하는 일시적인 활동으로, 범위, 시간, 비용, 품질,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며, 프로젝트 관리자는 표준 및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을 책임진다.
  • ISO/IEC 표준 - ISO/IEC 646
    ISO/IEC 646는 ASCII 기반의 7비트 문자 인코딩 표준으로, 국가별 변형이 존재했으나, 최종 개정판은 ASCII와 호환되도록 정의되었고, 현재는 ITU-T 권고 T.50 IRA가 현행 표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ISO/IEC 14443

2. 표준

ISO/IEC 14443 표준은 ISO/IEC JTC 1(합동 기술 위원회 1) / SC 17(소위원회 17) / WG 8(작업 그룹 8)에서 개발되었다.

2. 1. 구성

표준 번호제목비고
ISO/IEC 14443-1:2018물리적 특성[8] [1]
ISO/IEC 14443-2:2016무선 주파수 전력 및 신호 인터페이스[9]
ISO/IEC 14443-2:2020무선 주파수 전력 및 신호 인터페이스[2]
ISO/IEC 14443-3:2018초기화 및 충돌 방지[10] [3]
ISO/IEC 14443-4:2018전송 프로토콜[11] [4]


2. 2. 유형 (Type A/Type B)

ISO/IEC 14443은 Type A와 Type B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두 유형 모두 13.56 MHz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며,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Part 4)을 사용한다.[1] 하지만 변조 방식, 코딩 방식(Part 2) 및 프로토콜 초기화 절차(Part 3)에서 차이를 보인다.[1]

Type A는 비접촉형(안티 콜리전)으로 비트 콜리전, 타임 슬롯 방식을 사용하고, Type B는 슬롯 마커 방식을 사용한다.[1]

2. 2. 1. Type A

NXP 반도체(필립스)가 주로 개발했으며, MIFARE가 대표적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접촉 IC 카드 통신 규격이다. 일본에서는 한때 NTT의 IC 전화 카드에 채용되었다. 또한, 담배 구매용 성인 인증 카드 taspo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교통의 버스 IC 카드에도 채용되었다. 마스터카드의 비접촉 카드 결제 방식인 PayPass도 이 방식이다.[1]

2. 2. 2. Type B

모토로라가 개발을 주도했다.[1] NRZ 코딩, NRZ-L 인코딩, 이진 위상 편이 방식(BPSK)을 사용한다.[1] 대한민국에서는 개인 번호 카드(마이넘버 카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재류 카드, 여권 등 대부분의 신분증에 채용되었다.[1]

2. 3. 변조 방식

A형은 리더에서 태그로 통신할 때 진폭 편이 방식(ASK)과 변형 밀러 코딩을 사용하고, 태그에서 리더로 통신할 때는 on-off 키잉(OOK)과 맨체스터 코드를 사용한다.[1]

B형은 리더에서 태그로 통신할 때 ASK와 NRZ 코딩을 사용하고, 태그에서 리더로 통신할 때는 이진 위상 편이 방식(BPSK)과 NRZ-L 인코딩을 사용한다.[1]

A형과 B형 모두 각 방향으로 초당 106kbit의 데이터 속도로 반이중 통신만 허용한다. 카드로 전송된 데이터는 847.5kHz 부반송파로 부하 변조된다. (847.5kHz는 리더가 제공하는 13.56MHz 캐리어 주파수의 16분의 1이다.)[1]

3. 카드 크기

표준의 1부는 카드가 ISO/IEC 7810 또는 ISO/IEC 15457-1을 준수하거나, "다른 치수의 객체"일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1]

4. 주요 구현체


  • MIFARE 카드[1]
  • 생체인증 여권[2]
  • EMV 지불 카드 (페이패스, 비자 페이웨이브, 익스프레스페이)[3]
  • 근거리 무선 통신(NFC)[4]
  • CIPURSE[5]
  • 벤트라 카드[6]
  • 유럽 경제 지역의 신분증[10]
  • 비접촉식 FIDO 인증 장치
  • 칼립소

  • Type A
  • 비접촉형(안티 콜리전): 비트 콜리전, 타임 슬롯
  • MIFARE. 네덜란드의 NXP 반도체(필립스)가 주로 개발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접촉 IC 카드 통신 규격이다. 일본에서도 한때 NTT의 IC 전화 카드에 채용되었다. 또한, 담배 구매용 성인 인증 카드 taspo에도 채용되었으며, 교통 분야에서는 후쿠시마현의 후쿠시마 교통이 버스 IC 카드에 채용했다. 마스터카드의 비접촉 카드 결제 방식인 PayPass도 이 방식이다.
  • Type B
  • 비접촉형(안티 콜리전): 슬롯 마커
  • 모토로라가 개발을 주도했다. 일본에서는 개인 번호 카드(마이넘버 카드), 주민 기본 대장 카드, 자동차 운전 면허증, 재류 카드, 여권에 채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SO/IEC 14443-2:2020 http://www.iso.org/c[...] 2018-12-12
[2] 웹사이트 ISO/IEC 14443-2:2020 https://www.iso.org/[...] 2020-07-12
[3] 웹사이트 ISO/IEC 14443-3:2018 http://www.iso.org/c[...] 2018-12-12
[4] 웹사이트 ISO/IEC 14443-4:2018 http://www.iso.org/c[...] 2018-12-12
[5] 간행물 Reverse Engineering and Security Evaluation of Commercial Tags for RFID-Based IoT Applications 2016-12-24
[6] 웹사이트 device doc (download) https://ww1.microchi[...]
[7] 웹사이트 Active load modulation Finkenzeller (download) http://www.rfid-hand[...]
[8] 웹인용 ISO/IEC 14443-1:2018 http://www.iso.org/c[...] 2018-12-12
[9] 웹인용 ISO/IEC 14443-2:2016 http://www.iso.org/c[...] 2018-12-12
[10] 웹인용 ISO/IEC 14443-3:2018 http://www.iso.org/c[...] 2018-12-12
[11] 웹인용 ISO/IEC 14443-4:2018 http://www.iso.org/c[...] 2018-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